본문 바로가기

direct listing2

슬랙 IPO 거래 개시 임박, 상장 서류 엿보기 지난 금요일(4/26) 슬랙(Slack)의 S-1 서류가 공개됐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슬랙은 스포티파이(Spotify)에 이어 두번째로 직상장 방식으로 상장되는데, 직상장 방식에 대한 설명은 지난 포스팅에서 좀더 자세히 다룬 바 있다. 거래 개시가 기준 약 70억 달러(한화 약 8조 원)의 기업가치로 추산되는 가운데 향후 전망에 대해 상반된 의견이 혼재해 IPO 후 가격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 2018년 매출 4억 달러 손실 1억 4천만 달러 기록, 성장은 진행형 슬랙의 2018년 매출액은 4억 6백만 달러로 2017년 2억 2천만 달러 대비 81.6% 상승했고, 손실액은 1억 4천만 달러로 전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한편 2017년 매출액은 2016년 대비 무려 110% 상승하고 손.. 2019. 4. 29.
슬랙, 스포티파이 따라 직상장(direct listing) 추진 기업용 협업 툴을 서비스하는 슬랙(Slack)은 최근 직상장(direct listing) 방식으로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직상장은 2018년 4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Spotify)가 이용해 주목을 받았는데, 신주 발행을 하지 않고 주간사의 역할을 줄여 비용을 절감하는 방식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많은 우려에도 불구하고 스포티파이의 선례가 꽤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슬랙도 같은 길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슬랙의 기업가치는 70억 달러를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직상장(Direct listing), 상장 초기 높은 변동성 우려직상장의 가장 큰 리스크는 상장 초기 가격 변동성이 높아질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상장(IPO)의 경우 주간사(주로 투자은행이나 증권사가 담당)가 가.. 2019. 2. 13.
반응형